전시

참여작가

서다솜 SUH Dasom

  • 〈있는 없는〉, 2025, 단채널 비디오, 컬러, 사운드, 15분 30초.
  • 〈부엌살림〉, 2025, 혼합 매체(도자, 나무, 천, 빗자루, 초, 종이 등), 가변 크기.
  • 〈흔적〉, 2025, 도깨비 낙서(천에 드로잉 또는 디지털 프린트), 가면(전통 천 에 바느질), 초대장(화선지, 포장 종이와 은박 종이), 가변 크기.

서다솜은 2019년부터 전개한 프로젝트〈Practice Makes Practice〉의 일환으로 영상작업 및 설치작업, 사운드 작업을 경우하는 신작 워크숍 〈있는 없는〉을 진행했다. 작가는 본인과 주변의 삶을 관찰하며 얻은 주제를 다양한 사람들과 긴밀하게 나누기 위해 요리를 매개로 한 워크숍 형식의 작업을 전개했다.  

이번 신작에서 작가는 ‘도깨비’라는 존재를 주목했다. 도깨비는 귀신도, 사람도, 짐승도 아닌 환상의 존재로, 인간이 쉽게 발견할 수 없는 곳에서 자신만의 습성과 행태를 지키며 살아가다 불현듯 나타나 교훈을 주거나 색다른 경험을 선사하는 존재로 알려져 있다.  
작품은 두 단계 워크숍으로 구성됐다. 작가는 도깨비에 대한 리서치를 바탕으로, 우리 주변에서 ‘마치 도깨비 같은 존재’로 여겨지는 사람들을 초대하여 이들과 첫 번째 워크숍을 진행했다. ‘도깨비 모임’이라 할 수 있는 1박 2일간의 초동 워크숍은 영상으로 기록했고, 이번 페스티벌 기간 동안 약 6명의 관람객과 함께 두 번째 워크숍이 진행되었다. 참여자들은 첫 번째 워크숍에서 도깨비들이 나눈 이야기를 전해 듣고, 작가가 재해석한 ‘도깨비가 좋아하는 음식’을 함께 나누어 먹었다. 작가는 이번 신작을 통해 동시대를 살아가는 ‘도깨비’들의 삶의 태도에서 가르침을 발견하고, 관람객이 자신의 삶을 돌아보고 통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서다솜(b.1984)은 일상 속 수고로움과 정성, 특히 손으로 이루어지는 행위의 가치를 시각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작가는 사회현상과 역사에 대한 관심을 현재의 삶의 과정에 겹쳐 바라보며, 그 안에서 포착한 것들을 작업으로 만든다. 그는 요리, 바느질, 도자 등 주요 조형 언어를 비롯해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며 프로젝트 중심의 예술적 실험을 이어가고 있다. 

작가의 주요 개인전으로는 《살기, 먹기, 자기》(갤러리 혜윰, 2022), 《실례합니다, 이 근처에 혹시 꽃집 있나요?》(예술지구_p, 2021)등이 있으며, 주요 단체전으로는 광주비엔날레 5.18 특별전시《꽃 핀 쪽으로》(Spazio Berlendis, 베니스, 2022)가등이 있다. 작가는 《달이 지고 바다가 남을 때》(STUDIO Practice Makes Practice, 2024), 《포슬포슬 복실복실 키라키라 포카포카》(The Willow, 2023) 등의 워크숍을 진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