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

참여작가

김재현 KIM JAE HYEON

  • 〈써클 트래킹〉, 2025, 현수막에 인쇄, 총 5개의 테마(제의, 상, 신목 모시기, 원, 길), 1800×4500 cm(30)

김재현은 애니메이션을 주로 다루며 인지와 감각, 의식과 무의식의 관계를 바라본다. 강릉에서 성장한 작가는 성인이 된 후 서울로 이주해 빠르게 변하는 도심 속에서 도시적 감각을 체화한다. 오랜만에 찾은 강릉단오제에서 어린 시절의 기억과 마주하고 과거와의 단절을 자각한 작가는 그동안 미래를 향해 있던 시선을 과거로 전환해, 한때 존재했지만 지금은 사라진 시간과 소실된 흔적을 탐색하는 여정을 시작한다. 원형 구조로 이루어진 강릉역에서 선보이는 이번 신작은 산신제의 과정과 형식을 빌려, 토착민이면서도 이방인인 작가의 양가적 관점으로 강릉을 조망한다. 작품은 애니메이션 기법을 활용해 주인공을 설정하고 스토리라인을 구축하는 방식으로 전개되며, ‘제의’, ‘상’, ‘신목 모시기’, ‘원’, ‘길’ 이라는 다섯 개의 큰 흐름 속에서 각 요소가 유기적으로 얽히며 서사를 확장하고 주인공의 여정을 완성한다.  

강릉역

  • 〈플로어 맵핑〉 2025, 현수막에 인쇄, GIAF25 장소 일러스트, 180×120 cm(16)

‘다리’는 많은 이들이 오가는 장소이자, 서로 다른 공간을 연결하는 지점이다. 이번 페스티벌에서 강릉역과 함께 중요한 거점으로 기능하는 창포다리는 평소에는 남대천을 가로지르는 길이지만, 강릉단오제 기간에는 강릉 시내와 단오 난장을 이어주는 길목이 된다. 나아가 사람들의 발길이 모이고 흩어지는 장소로서 이번 페스티벌이 열리는 공간들을 잇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강릉역을 이번 페스티벌의 출발 지점으로 본다면, 창포다리는 지리적으로 여정의 끝에 자리한다. 이곳에서는 시원한 바람을 맞으며, 멀리 보이는 동해의 수평선과 페스티벌 공간들을 한눈에 담을 수 있다. 창포다리에 설치된 김재현 작가의 작품은 페스티벌이 펼쳐지는 장소들을 하나의 시선으로 엮어낸다. 작품 속 풍경이 다리 위에 펼쳐지며 창포다리는 전시의 마지막 순간을 시각적으로 완성하는 공간이 된다. 강릉역에서 출발해 창포다리에 다다른 관람객은 이곳에서 작품을 마주하며 전시의 여운을 간직한 채 여정을 마무리하게 된다. 

창포다리

김재현(b.1994)은 GIAF25의 강원지역 기반 작가공모를 통해 선정된 강릉 출생의 작가로, 현재 서울과 강릉을 오가며 애니메이션, 디지털 페인팅, 드로잉 등의 다양한 작업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작가는 개인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한 사건들을 상징적인 이미지와 비선형적인 이야기로 바꾸어 내면의 세계를 탐구하며, 인지와 감각, 의식과 무의식의 관계를 질문합니다.
주요 개인전으로 《마인드 홀홀홀》(빈칸 을지로, 2023), 《Collect, Scenery, Fragment》(LAZYY, 파주 헤이리예술마을, 2024) 등이 있으며, 주요 그룹전으로는 《Bodyologies VIII》(Ospizio Giovani Artisti, 이탈리아, 2024), 《WAVE TO WAVE》(피어 컨템포러리, 2024) 등이 있습니다. 제53회 Sehsuechte 국제 학생 영화제, 스페셜 프로그램 씨네이스트 부문 (독일, 2024), 제12회 파리 국제 애니메이션 영화제, 실험 애니메이션 부문 (프랑스, 2024), 제46회 클레르몽페랑 국제 단편 영화제, 숏필름마켓 (프랑스, 2024), 제7회 베를린 애니메이션 영화제, 뉴 탤런트 부문 (독일, 2023) 등 세계 유수의 영화제에 초청된 바 있습니다.

인스타그램: @sheep_null
웹사이트: https://linktr.ee/kimjaehye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