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
참여작가
- 〈변신술사〉, 2025, 단채널 비디오, 컬러, 사운드, 99분.
호추니엔(b.1976)은 싱가포르 출신으로 동남아시아의 역사, 정치, 종교 등을 심도 깊게 파고드는 작가다. 이번 페스티벌에서 호추니엔은 ‘변신술사(Shapeshifters)’ 라는 주제로 작가가 직접 큐레이션한 다섯 편의 작품을 상영했다. 작가는 요괴나 스파이처럼 경계에 위치한 존재들을 통해 이야기가 생성되고 전파되며 변형되는 과정을 탐구한다. 이들은 아시아 근대성이 비선형적으로 중첩되는 양상을 보여주는 렌즈로 작동하며, 파편화되고 겹쳐지고 끊임없이 다시 쓰이는 역사의 성질을 드러낸다.
정체성, 역사, 내러티브의 변주 사이 복잡한 관계를 조명하는 이번 상영작들은 호추니엔의 예술적 관점을 드러내는 동시에 강릉국제아트페스티벌이 주목하는 주제 ‘오래된 이야기’와도 연결된다. 마치 신라 가요 ‘명주가’가 후대에 강릉의 연화부인 신화로 진화했듯, 시대와 사회의 변화 속에서 무수한 이야기가 새로운 방식으로 변형되고 재해석된다. 이야기는 그렇게 수많은 익명의 청자와 이야기꾼을 거쳐 언제나 현재와 맞닿은 채로 여전히 생명을 이어간다. 이렇듯 관객은 다시 한번 과거와 현재를 넘나드는 스토리텔링의 본질을 직접 경험했다.
– 상영작 리스트 –
1. 〈이름 없음〉, 2015, 21분 50초.
2. 〈이름〉, 2015, 17분 20초.
3. 〈서른 여섯 요괴〉, 2021, 20분.
4. 〈정보기관 한/두 곳〉, 2021, 20분.
5. 〈호랑이 한/두 마리〉, 2021, 20분.
이 작품은 제3회 강릉국제아트페스티벌(GIAF25) 스크리닝 커미션으로 한국어 번역 및 상영되었다.
1. 〈이름 없음〉, 2015, 21분 50초.
〈이름 없음〉은 ‘라이 텍’이라는 1939년부터 1947년까지 말라야 공산당 총서기를 지낸 인물에 대해 이야기한다. 50개 이상의 가명 중 하나인 ‘라이 텍’으로 알려진 이 인물은 프랑스와 영국의 정보기관을 위해 활동하다가 이후 일본의 헌병대(Kempeitai)와도 협력하는 삼중첩자로 변모하였다. 말라야 점령기 동안 다양한 세력 사이에서 삼중첩자 활동을 했던 그는 결국 정체가 발각되어 태국에서 암살되었다.
그러나 이 작품은 ‘영화’와 ‘연기’에 관한 이야기이기도 하다. 세계의 주요 영화 산업 중 특히 홍콩 영화에서는 이중적 정체성을 지닌 밀고자, 이중첩자, 정보원, 배신자와 같은 캐릭터들을 소재로 다룬 영화들을 많이 접할 수 있다.
이 작품은 다국적 언어를 구사하며 다수의 대상에게 충성하는 역할을 맡은 배우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필요에 따라 모습을 바꿀 수 있는 변신술의 귀재에 대한 이야기를 데투르망(detournement) 기법으로 창작된 이미지들을 통해 전달한다.
크레딧1
출처2
2. 〈이름〉, 2015, 17분 20초.
진 Z. 한라한은 말레이시아 공산당의 종합적인 역사를 기술하려 한 최초의 작가이자, 역사적 기록과 문학적 저술 등 다채로운 저서들을 남긴 인물이다. 그의 방대한 주제와 관심사는 마치 여러 명의 서로 다른 작가가 하나의 필명을 공유하며 집필한 듯한 인상을 준다. 오늘날, 그는 CIA와 연관된 유령 작가(ghost-writer)였다는 강력한 의혹을 받고 있기도 하다.
〈이름〉은 다수의 서구 영화들 속 배우들이 글을 쓰는 장면들로 구성된다. 작품에 포함된 음성 내레이션은 한라한의 저서에서 발췌한 문장들이며, 미국 성우
들의 현실감 있는 낭독으로 한라한의 캐릭터를 묘사해 준다.
이 작품은 본래 단채널 비디오 상영과 작가가 2014년부터 수집해 온 한라한의 희소한 책들이 함께 전시되는 형태로 제작된 바 있다.
크레딧3
출처(이미지, 음향)4
인용5
3. 〈서른 여섯 요괴〉, 2021, 20분.
〈서른 여섯 요괴〉는 일본 요괴(Yokai)와 전쟁의 관계를 탐구하는 동시에 특히 태평양 전쟁과 관련해 새롭게 등장한 이야기들을 탐색한다. 전쟁 속 대중의 두려움과 절망감의 무의식적인 분출은 요괴의 형태로 일상적 상상 속에 깊이 자리 잡게 된다.
이 작품에 등장하는 요괴 설화 중 일부는 일본의 말라야 및 동남아시아 침략과 연관성이 있다. ‘말라야의 호랑이(Tiger of Malaya)’로 알려졌던 야마시타 도모유키(Yamashita Tomoyuki) 장군과 도적 다니 유타카(Tani Yutaka)는 각각 인간의 모습을 한 호랑이(weretiger), 추인으로 등장한다. 또한, 전통적으로 등불의 기름을 핥아 먹는 존재로 알려진 바케네코(Bakeneko), 괴물 고양이와 히마무시 뇨도(Himamushi-nyudo), 불벌레 승려는 전쟁 중 동남아시아에서 자원을 약탈하던 일본군의 모습과 겹쳐지기도 한다.
이처럼 직조된 요괴 설화들은 기괴함과 잔혹함을 통해 ‘자아’를 이해하려는 시도를 나타내기도 한다.
출연진 및 크레딧6
4. 〈정보기관 한/두 곳〉, 2021, 20분.
1938년, 일본은 정보전, 심리전, 선전전에 특화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나카노 육군학교’를 설립했다. 오직 군부와 대학에서 추천받은 최우수 인재만이 입학허가를 받았으며, 엄격한 시험을 통과한 자들은 ‘천재’로 간주되었다. 이후, 나카노 육군학교의 졸업생들은 1940년 남아시아 및 동남아시아에서 활동한 비밀 정보기관인 ‘F 기관(F-Kikan)’의 핵심인물들이 된다.
〈정보기관 한/두 곳〉은 애니메이션과 실사 영상을 겹쳐서 보여주며, 나카노 육군학교를 거쳐 간 스파이들의 다중적 정체성과 역사적 내러티브의 경계를 모호하게 표현한다. 등장하는 수많은 첩자들은 서로 다른 길을 걷는다. 어떤 이는 국가와 정부를 위해 목숨을 바치기도 하고, 또 어떤 이는 자신의 삶을 위해 또 다른 첩자가 되기도 한다.
출연진 및 크레딧7
5. 〈호랑이 한/두 마리〉, 2021, 20분.
〈호랑이 한/두 마리〉는 각각 ‘말라야의 호랑이’로 알려졌던 두 일본인에 관한 네러티브를 모티브로 삼고 있다. 첫 번째 인물인 야마시타 도모유키 장군은 1942년 싱가포르 침공 당시 수적으로 우세한 연합군을 격파하며 ‘말라야의 호랑이’라는 별칭을 얻었다. 두 번째 인물인 다니 유타카는 ‘하리마우(Harimau), 말레이어로 호랑이’라고 불리던 말라야에서 자란 일본계 도적으로, 약자들의 편에 서서 싸운 영웅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는 후에 F 기관 출신 나카노 육군학교 첩자인 카모토 토시오(Kamoto Toshio)의 권유로 영국군에 맞서는 첩자가 되었다.
〈호랑이 한/두 마리〉는 ‘호랑이’의 이미지가 동아시아 미술작품에서 현대 일본 애니메이션에 이르기까지의 역사 속에서 어떻게 묘사되어 왔는지를 추적하며, 전쟁의 망령으로서 되살아난 호랑이의 형상을 재조명한다.
출연진 및 크레딧8
호추니엔(b.1976)은 싱가포르 출신 작가로, 동서양의 예술사, 연극, 영화, 음악, 철학 등 다양한 문화적 레퍼런스를 작품에 차용한다. 그는 신화적 서사와 역사적 사실을 엮어, 역사의 다층적인 이해와 기록, 전승의 메커니즘을 탐구한다. 작가는 동남아시아를 단순한 지리적 또는 기초적인 역사적 프레임으로 설명할 수 없는, 언어·종교·문화와 외부 영향력의 다양성이 공존하는 장소로 인식한다. 이러한 동남아시아의 다문화적 정체성에 대한 작가의 관점은 다큐멘터리적 연구부터 판타지에 이르기까지, 아카이브 이미지, 애니메이션, 영화 등을 결합한 몰입형 설치 작업으로 구현된다.
작가는 대표적으로 루마 아를(2025), 무담 룩셈부르크(2025), 헤셀 미술관(2024), 아트선재센터(2024), 도쿄 현대미술관(2024), 싱가포르 아트 뮤지엄(2023), 해머 미술관(2022), 도요타 시립 미술관(2021), 크로우 아시아 미술관(2021), YCAM(2021), 에디트-루스 미디어 아트 하우스(2019), 함부르크 쿤스트페어라인(2018), McaM(2018), 아시아 아트 아카이브(2017), 구겐하임 빌바오(2015), 모리 미술관(2012) 등 세계 유수 미술관에서 개인전을 개최했고, 제54회 베니스 비엔날레(2011) 싱가포르 국가관 대표 작가로 참여했다. 그는 대만 작가인 슈 차 웨이와 함께 제7회 아시아미술비엔날레《산과 바다를 넘어온 이방인들》(2019)를 공동 기획했고 제16회 광주비엔날레(2026) 예술감독으로 선임되었다.
- 중국어 음성: 송 유저 (Song Yuzhe)
베트남어 음성: 훙 만 레 (Hung Manh Le)
중국어 번역: 로우 카 웨이 (Low Kah Wei)
베트남어 번역: 아론 해시 (Aaron Hasche)
음향 믹스: 티투스 마데를레흐너 (Titus Maderlechner)
색 보정: 카롤린 뢰켈라인 (Carolin Röckelein)
↩︎ - 1989 – ⟨비정성시(City of Sadness)⟩, 허우 샤오셴, 157분
1990 – ⟨첩혈가두(Bullet in the Head)⟩, 존 우, 136분
1990 – ⟨아비정전(Days of Being Wild)⟩, 왕가위, 94분
1992 – ⟨첩혈속집(Hard Boiled)⟩, 존 우, 128분
1994 – ⟨동사서독(Ashes of Time)⟩, 왕가위, 100분
1994 – ⟨중경삼림(Chungking Express)⟩, 왕가위, 94분
1995 – ⟨씨클로(Xich lo)⟩, 트란 안 홍, 123분
1997 – ⟨해피 투게더(Happy Together)⟩, 왕가위, 96분
1998 – ⟨암화(The Longest Nite)⟩, 유달지, 81분
2000 – ⟨화양연화(In the Mood for Love)⟩, 왕가위, 98분
2002 – ⟨무간도(제1부) (Infernal Affairs, Part 1)⟩, 유위강, 맥조휘, 101분
2004 – ⟨2046⟩ 왕가위, 129분
2007 – ⟨색, 계(Lust, Caution)⟩, 이안, 157분
2011 – ⟨대 마술사(The Great Magician)⟩, 이동승, 128분
2012 – ⟨청풍자(The Silent War)⟩, 장문강, 맥조휘, 120분
2013 – ⟨일대종사(The Grandmaster)⟩, 왕가위, 130분
↩︎ - 감독, 대본, 편집, 음향: 호추니엔 (Ho Tzu Nyen)
프로젝트 매니저: 스테파니 고 (Stephanie Goh)
음향 믹스 및 오디오 엔지니어: 티투스 마데를레흐너 (Titus Maderlechner)
색 보정: 카롤린 뢰켈라인 (Carolin Röckelein)
연구 자문: 마르크 오퍼 (Marc Opper)
중국어 번역 및 음성: 테이 콩 후이 (Tay Kong Hui)
미국인 목소리 출연: 피터 길버트 코튼 (Peter Gilbert Cotton)
조너선 파일라 (Jonathan Failla)
톰 스트라우스 (Tom Strauss)
프로젝트 최초 의뢰: 아리안 베인 (Ariane Beyn) — The Name (2015) 전시회, 다드갤러리 (daadgalerie), 베를린
고마운 분들: 베티나 클라인 (Bettina Klein), 마르크 오퍼 (Marc Opper)
↩︎ - 1980 – ⟨샤이닝(The Shining)⟩, 스탠리 큐브릭, 144분
1982 – ⟨죽음의 게임(Deathtrap)⟩, 시드니 루멧, 116분
1987 – ⟨술고래(Barfly)⟩, 바벳 슈로더, 100분
1990 – ⟨미저리(Misery)⟩, 로브 라이너, 107분
1991 – ⟨바톤 핑크(Barton Fink)⟩, 조엘 & 에단 코엔, 116분
1991 – ⟨카프카(Kafka)⟩, 스티븐 소더버그, 98분
1991 – ⟨네이키드 런치(Naked Lunch)⟩, 데이비드 크로넨버그, 115분
1994 – ⟨허드서커 대리인(The Hudsucker Proxy)⟩, 조엘 & 에단 코엔, 111분
1997 – ⟨해리 파괴하기(Deconstructing Harry)⟩, 우디 앨런, 96분
2000 – ⟨원더 보이즈(Wonder Boys)⟩, 커티스 핸슨, 107분
2000 – ⟨파인딩 포레스터(Finding Forrester)⟩, 구스 반 산트, 136분
2002 – ⟨어댑테이션(Adaptation)⟩, 스파이크 존즈, 114분
2004 – ⟨시크릿 윈도우(Secret Window)⟩, 데이비드 코엡, 96분
2005 – ⟨카포티(Capote)⟩, 베넷 밀러, 114분
2005 – ⟨삶의 가장자리(Factotum)⟩, 벤트 해머, 94분
2006 – ⟨하프 라이트(Half Light)⟩, 크레이그 로젠버그, 110분
2006 – ⟨애스크 더 더스트(Ask the Dust)⟩, 로버트 타운, 117분
2007 – ⟨1408⟩, 미카엘 하프스트롬, 104분
2007 – ⟨어톤먼트(Atonement)⟩, 조 라이트, 123분
2008 – ⟨곤조(Gonzo)⟩, 알렉스 기브니, 120분
2010 – ⟨유령 작가(The Ghost Writer)⟩, 로만 폴란스키, 128분
2010 – ⟨하울(Howl)⟩, 롭 엡스타인 & 제프리 프리드먼, 84분
2011 – ⟨럼 다이어리(The Rum Diary)⟩, 브루스 로빈슨, 120분
2012 – ⟨헤밍웨이 & 겔혼(Hemingway & Gellhorn)⟩, 필립 카우프만, 155분
2012 – ⟨마스터(The Master)⟩, 폴 토마스 앤더슨, 144분
2013 – ⟨킬 유어 달링(Kill Your Darlings)⟩, 존 크로키다스, 104분
↩︎ - 1943 – 윌리엄 J. 케네디, Pre-Service Course in Shop Practice, 미국 뉴욕: John Wiley & Sons, INC., 1943, 인도 뉴델리: Isha Books, 2013.
미국 의회 도서관 카탈로그에 따르면, 윌리엄 J. 케네디는 진 Z. 한라한의 필명이다.
1954 – 진 Z. 한라한, The Communist Struggle in Malaya, 미국 뉴욕: Institute of Pacific Relations, 1954,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The University of Malaya Press, 1979.
1954 – 진 Z. 한라한, Japanese Operations Against Guerilla Forces, 미국 메릴랜드: Operations Research Office, The John Hopkins University.
1962 – 진 Z. 한라한 (편집), ASSAULT! True Action Stories of the Island War in the Pacific, 선택, 편집 및 소개: 진 Z. 한라한, 미국 뉴욕: Bantam Books.
1962 – 진 Z. 한라한 (편집), Hemingway – The Wild Years, 선택, 편집 및 소개: 진 Z. 한라한, 미국 뉴욕: Dell Publishing.
1965 – 진 Z. 한라한 (편집), ‘Foreword’ to 50 Great Oriental Stories, 선택, 편집 및 소개: 진 Z. 한라한, 미국 뉴욕: Bantam Books.
1974 – 진 Z. 한라한, Communist Guerilla Warfare Tactics, 미국 콜로라도: Paladin Press.
1981 – 진 Z. 한라한 (편집), The Murder of Madero, and the Role Played by the U.S. Ambassador Henry Lane Wilson, Documents on the Mexican Revolution 제4권,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Documentary Publications.
1981 – 진 Z. 한라한 (편집), The Election of Madero, the Rise of Emiliano Zapata and the Reyes Plot in Texas, Documents on the Mexican Revolution 제3권,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Documentary Publications.
1982 – 진 Z. 한라한 (편집), Blood Below the Border – American Eye-witness Accounts of the Mexican Revolution,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Documentary Publications.
1983 – 진 Z. 한라한 (편집), to Counter Revolution Along the Border, Documents on the Mexican Revolution 제7권,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Documentary Publications.
1983 – 진 Z. 한라한 (편집), The Rebellion of Felix Diaz, Documents on the Mexican Revolution 제8권,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Documentary Publications.
1985 – 진 Z. 한라한 (편집), The Terrorist Classic: Carlos Marighella, Manual of the Urban Guerilla,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Documentary Publications.
1985 – 진 Z. 한라한 (편집), The Bad Yankee / El Peligro Yankee – American Entrepreneurs and Financiers in Mexico, Documents on the Mexican Revolution 제9권,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Documentary Publications.
1992 – 체아 분 켕, From PKI to the Comintern, 1924-1941: The Apprenticeship of the Malayan Communist Party, 미국 뉴욕: Cornell University Press, Southeast Asia Program Publications.
↩︎ - 감독, 대본, 편집, 음향 공동 디자인, 공동 프로듀서: 호추니엔 (Ho Tzu Nyen)
연구, 대본 협력, 일본어 번역: 노세 요코 (Yoko Nose)
일본어 번역: 아라이 토모유키 (Tomoyuki Arai)
아티스트 어시스턴트, 제작 매니저, 자막: 요한 야민 (Johann Yamin)
아티스트 어시스턴트, 제작 코디네이터: 장퍼 정 (Janfer Chung)
공동 프로듀서: 스테파니 고 (Stephanie Goh)
애니메이션 및 폴리: 스크린 브레스 스튜디오 (Screen Breathes Studio)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시리우스 블랙 (Sirius Black)
음향 믹스: 제프리 유에 (Jeffrey Yue)
추가 음향 믹싱: 청 리지에 (Cheng Lijie)
작곡: 아키 온다 (Aki Onda)
목소리: 퓌 (Phew)
음향 엔지니어: 카사이 도시히코 (Toshihiko Kasai)
최초 의뢰: 일본 도요타시 미술관 (Toyota Municipal Museum of Art)
지원: 싱가포르 국립예술위원회 (National Arts Council, Singapore) 및 키앙 말링그 (Kiang Malingue)
↩︎ - 감독, 대본, 편집, 음향 공동 디자인, 공동 프로듀서: 호추니엔 (Ho Tzu Nyen)
연구, 대본 협력, 일본어 번역: 노세 요코 (Yoko Nose)
드라마 투르기, 연구, 대본 협력, 일본어 번역: 아라이 토모유키 (Tomoyuki Arai)
아티스트 어시스턴트, 제작 매니저, 자막: 요한 야민 (Johann Yamin)
아티스트 어시스턴트, 제작 코디네이터: 장퍼 정 (Janfer Chung)
공동 프로듀서: 스테파니 고 (Stephanie Goh)
애니메이션 및 폴리: 스크린 브레스 스튜디오 (Screen Breathes Studio)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시리우스 블랙 (Sirius Black)
음향 믹스: 제프리 유에 (Jeffrey Yue)
추가 음향 믹싱: 청 리지에 (Cheng Lijie)
작곡: 아키 온다 (Aki Onda)
코라, 파이프, 카시오 톤: 나오 니시하라 (Nao Nishihara)
음향 엔지니어: 카사이 도시히코 (Toshihiko Kasai)
음향 보조 엔지니어: 카세 타쿠마 (Takuma Kase)
최초 의뢰: 일본 도요타시 미술관 (Toyota Municipal Museum of Art)
후원: 싱가포르 국립예술위원회 (National Arts Council, Singapore) 및 키앙 말링그 (Kiang Malingue)
↩︎ - 감독, 대본, 편집, 음향 공동 디자인, 공동 프로듀서: 호추니엔 (Ho Tzu Nyen)
연구, 대본 협력, 일본어 번역: 노세 요코 (Yoko Nose)
드라마 투르기, 연구, 대본 협력, 일본어 번역: 아라이 토모유키 (Tomoyuki Arai)
아티스트 어시스턴트, 제작 매니저, 자막: 요한 야민 (Johann Yamin)
아티스트 어시스턴트, 제작 코디네이터: 장퍼 정 (Janfer Chung)
공동 프로듀서: 스테파니 고 (Stephanie Goh)
애니메이션 및 폴리: 스크린 브레스 스튜디오 (Screen Breathes Studio)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시리우스 블랙 (Sirius Black)
음향 믹스: 제프리 유에 (Jeffrey Yue)
추가 음향 믹싱: 청 리지에 (Cheng Lijie)
음악 작곡가: 아키 온다 (Aki Onda)
태평소, 중국 심벌, 징: 나오 니시하라 (Nao Nishihara)
음향 엔지니어: 카사이 도시히코 (Toshihiko Kasai)
최초 의뢰: 일본 도요타시 미술관 (Toyota Municipal Museum of Art)
후원: 싱가포르 국립예술위원회 (National Arts Council, Singapore) 및 키앙 말링그 (Kiang Malingue) ↩︎